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비스기획책추천
- 요구사항정의서
- 기획자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신입기획자
- 회원가입기획
- 기획자의회고
- PM
- 서비스기획자
- 신입서비스기획자
- IT기획자
- 서비스기획
- 업무회고
- 비전공자
- 기획자의문서관리
- 서비스기획회고
- 비전공자취업
- 기획자의책장
- 기획자회고
- 회고하는이유
- 기획프로세스
- IT기획
- 서비스기획실무
- 주니어기획자
- 회원가입로직
- 기획실무
- 기능정의서
- 화면설계서
- 포트폴리오구성
- 책추천
- Today
- Total
목록신입서비스기획자 (2)
기획자로 살아남기

직무마다 보는 포인트는 다르겠지만 한 달마다 월급 받고 사는 직장인이라면 내 월급이 밀리지 않는 회사인지 파악하는 게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대기업을 선호하는지도 모르겠다. 안정적인 회사 운영을 하고 있다 보니 월급과 그에 못지않은 상여금, 복지가 있기 때문이다. IT 분야는 폭발적인 성장을 한다면 대기업 부럽지 않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 물론 지금 시장이 많이 얼어붙은것도 사실이고 예전만큼 성장기업이 나오지 않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그 목적을 바라고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기고 있다.네, 카, 라, 쿠, 배, 당, 토가 그 중심에 있다. 네이버는 대기업이 된 지 오래지만 네이버를 제외한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 민족, 당근마켓, 토스 모두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폭발적인 성장을 해..

신입 때 여러 자료와 면접 경험을 통해 신입 포지션이 물어보면 좋은 질문 리스트를 정리해본다. 대기업을 제외하고 스타트업, 중소기업에 들어갈 때 회사 사정에 따라 기량을 뽐낼 수 있는 배경이 되는지 안되는지가 많이 좌우되는만큼 신입 포지션이 물어보면 좋은 질문 리스트를 추려봤다. 대기업은 아직(?) 가보지 못했지만 어떤 형태의 회사건, 면접 시에 대답만 하는 것보다 질문하는 태도는 좋은 평가를 받는다. 물론, 바보같은 질문은 되려 마이너스가 되겠지만. https://youtu.be/UGQHSSi8zuI https://youtu.be/2czgoTBf3fc 나의 첫 선택은 스타트업이었다. 아무래도 다양한 경험과 빡센 성장이 목표였기때문에, 중소기업보단 스타트업을 선택했다.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은 플러스되는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