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비스기획책추천
- IT기획
- 서비스기획자
- 기획실무
- 신입서비스기획자
- 기능정의서
- 화면설계서
- 기획자회고
- 기획자
- 회원가입기획
- 기획자의회고
- 서비스기획회고
- 책추천
- 업무회고
- 신입기획자
- 포트폴리오구성
- 기획프로세스
- 서비스기획실무
- 기획자의문서관리
- 요구사항정의서
- IT기획자
- 서비스기획
- 회고하는이유
- 주니어기획자
- PM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비전공자취업
- 회원가입로직
- 기획자의책장
- 비전공자
- Today
- Total
목록서비스 기획자 취업 이직 (8)
기획자로 살아남기
이직/취업 때 대기업/중견기업/스타트업 등 어떤 곳으로 갈지 모르겠을 때,어느정도 연차가 쌓여 매너리즘에 빠진 직장인이라면조금이나마 도움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공유합니다.(이미 유명할지도..) > 무조건 스타트업, 대기업을 가라는 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어떤 부분이 힘들고 어떤 부분이 장점이었는지 여실히 알려주면서 참고해볼 수 있었다. > 더 이상 성장이 느껴지지 않을 때, 매너리즘이 느껴질 때 동기부여와 현실적 조언으로 다시금 마음을 고쳐먹거나 도전을 해볼 수 있는 용기가 생기는 것 같다. (E.O) 1. 27년차 개발자 한기용님의 영상1부(E.O)https://youtu.be/nLL409se8sM?si=fyaZq5XyriBzPWIh (E.O) 2. 27년차 개발자 한기용님의 영상2부https://you..

신입으로 IT회사에 취업 후 1년이 되기도 전에 회사가 망했다. 직무를 정하고 첫회사였기 때문에 1년 이상은 근무하고 싶었는데, 어찌 됐건 이런 상황이 된 이상 다시 취업준비를 해야 했다. 한 가지 업무만 한 게 아니라 기획, 마케팅, 디자인 여러 가지 일을 얕게 했다 보니 포트폴리오에 뭘 녹여야할지 잘 모르겠었다. 그래서 여기저기 커뮤니티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실무자분들이나, 실제 인사팀에 계신 분들께 문의를 해가며 포인트나 팁들을 얻곤 했다. 어떤 직무든 회사에서는 경력자를 원한다. 신입이 기회를 잡기란 참 어렵긴 하지만 아예 안되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티에서 기획경력만 수십 년인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중고 신입 혹은 저연차(1-3년차)에게 바라는 것은 뛰어난 기획력이 아니라는 것이다...

직무마다 보는 포인트는 다르겠지만 한 달마다 월급 받고 사는 직장인이라면 내 월급이 밀리지 않는 회사인지 파악하는 게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대기업을 선호하는지도 모르겠다. 안정적인 회사 운영을 하고 있다 보니 월급과 그에 못지않은 상여금, 복지가 있기 때문이다. IT 분야는 폭발적인 성장을 한다면 대기업 부럽지 않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 물론 지금 시장이 많이 얼어붙은것도 사실이고 예전만큼 성장기업이 나오지 않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그 목적을 바라고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기고 있다.네, 카, 라, 쿠, 배, 당, 토가 그 중심에 있다. 네이버는 대기업이 된 지 오래지만 네이버를 제외한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 민족, 당근마켓, 토스 모두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폭발적인 성장을 해..

구직 사이트를 보면 서비스 기획자를 검색해도 구분 짓지 않고 나오는 직무가 있다. 바로 PM,PO이다. 또, 서비스 기획자를 구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PM을 구하는 경우도, 반대의 상황도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고 한다. 영어에 기획자라는 단어가 따로 없기도 하지만 기획이라는 국소적인 부분이 아닌 PM으로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PM, PO,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를 알아보자. 원티드에 '서비스기획자'를 검색해 보았다. 서비스기획자(PM), 프로젝트 매니저등 서비스기획과 PM이 혼합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두 직무를 따로 나누어 보기보단 회사마다 해당 직무에 원하는 방향성, 즉 주요 업무(JD) 및 자격요건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JD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