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비전공자
- IT기획자
- 회고하는이유
- 책추천
- 포트폴리오구성
- 회원가입기획
- 기획실무
- 기획자태도
- 업무회고
- 서비스기획
- IT기획
- 서비스기획자
- AI시대
- 기획자의책장
- 기획자의회고
- PM
- 회원가입로직
- 신입기획자
- 비전공자취업
- 기획자회고
- 기획프로세스
- 신입서비스기획자
- 요구사항정의서
- 주니어기획자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화면설계서
- 기획자의문서관리
- 서비스기획책추천
- 서비스기획실무
- 기능정의서
- Today
- Total
목록신입기획자 (3)
기획자로 살아남기

신입으로 IT회사에 취업 후 1년이 되기도 전에 회사가 망했다. 직무를 정하고 첫회사였기 때문에 1년 이상은 근무하고 싶었는데, 어찌 됐건 이런 상황이 된 이상 다시 취업준비를 해야 했다. 한 가지 업무만 한 게 아니라 기획, 마케팅, 디자인 여러 가지 일을 얕게 했다 보니 포트폴리오에 뭘 녹여야할지 잘 모르겠었다. 그래서 여기저기 커뮤니티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실무자분들이나, 실제 인사팀에 계신 분들께 문의를 해가며 포인트나 팁들을 얻곤 했다. 어떤 직무든 회사에서는 경력자를 원한다. 신입이 기회를 잡기란 참 어렵긴 하지만 아예 안되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티에서 기획경력만 수십 년인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중고 신입 혹은 저연차(1-3년차)에게 바라는 것은 뛰어난 기획력이 아니라는 것이다...

직무마다 보는 포인트는 다르겠지만 한 달마다 월급 받고 사는 직장인이라면 내 월급이 밀리지 않는 회사인지 파악하는 게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대기업을 선호하는지도 모르겠다. 안정적인 회사 운영을 하고 있다 보니 월급과 그에 못지않은 상여금, 복지가 있기 때문이다. IT 분야는 폭발적인 성장을 한다면 대기업 부럽지 않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 물론 지금 시장이 많이 얼어붙은것도 사실이고 예전만큼 성장기업이 나오지 않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그 목적을 바라고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기고 있다.네, 카, 라, 쿠, 배, 당, 토가 그 중심에 있다. 네이버는 대기업이 된 지 오래지만 네이버를 제외한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 민족, 당근마켓, 토스 모두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폭발적인 성장을 해..

취업 준비를 할 때는 몰랐던 SI/에이전시, 인하우스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취업할 때 알았더라면 도움 됐을 텐데 전혀 모르고 첫 직장을 다닌 기억이 있다. IT회사라면 당연히 자체 앱만 만들어낸다고 생각했지 IT회사도 분야는 여러 개로 나누어져 있는지 몰랐다. SI/에이전시 1. 특징 우선, SI와 에이전시는 서로 아예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비슷한 분야로 묶어볼 수 있다. 기업 자체의 서비스를 다루는 게 아닌 고객사가 따로 존재하여 개발 및 기획, 디자인등을 의뢰받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내부에서 자체 미팅을 갖기보다는 우선 고객사와 미팅을 갖고 어떤 기획, 디자인을 원하는지, 즉 요구사항이 뭔지 파악한다. 이후 내부미팅을 통해 방향성을 잡고 단계마다 고객사의 컨펌하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