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기획프로세스
- 회고하는이유
- 서비스기획자
- 기획실무
- IT기획자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화면설계서
- AI시대
- 신입서비스기획자
- 서비스기획책추천
- 서비스기획
- 포트폴리오구성
- 회원가입로직
- 책추천
- 기획자의문서관리
- 주니어기획자
- 기획자회고
- 기획자태도
- 비전공자취업
- 서비스기획실무
- 요구사항정의서
- 업무회고
- 비전공자
- 신입기획자
- 회원가입기획
- 기획자의책장
- PM
- IT기획
- 기능정의서
- 기획자의회고
- Today
- Total
목록포트폴리오구성 (2)
기획자로 살아남기

구직 사이트를 보면 서비스 기획자를 검색해도 구분 짓지 않고 나오는 직무가 있다. 바로 PM,PO이다. 또, 서비스 기획자를 구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PM을 구하는 경우도, 반대의 상황도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고 한다. 영어에 기획자라는 단어가 따로 없기도 하지만 기획이라는 국소적인 부분이 아닌 PM으로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PM, PO,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를 알아보자. 원티드에 '서비스기획자'를 검색해 보았다. 서비스기획자(PM), 프로젝트 매니저등 서비스기획과 PM이 혼합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두 직무를 따로 나누어 보기보단 회사마다 해당 직무에 원하는 방향성, 즉 주요 업무(JD) 및 자격요건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JD 분..

나는 운이 안 좋게도 첫 회사에 입사한 지 1년이 되기도 전에 회사가 망한 케이스다. 그렇다고 이력서에 대단한 프로젝트를 넣을 만한, 아니 그보다 작게라도 지속적으로 한 것조차 없었던 상황이었다. 기획, 디자인, 마케팅 등 정말 다양한 걸 했었기 때문이고 보통은 아주 짧게 끝나버리는 프로젝트들이, 기획과는 상관없는 일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다양한 걸 할 수 있는 거랑 제대로 된 일이 없어 다양한 걸 한 것은 큰 차이가 있다.(물경력의 설움) 그래도 10개월이라는 시간 동안 경력이 쌓였기 때문에 쉽게 이직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었다. 면접기회는 차치하고 서류합격부터 되지 않았다. 이전 포트폴리오는 전체적으로 뒤엎고 다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보기 시작했다. 시니어 분들께 피드백도 여러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