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로 살아남기

실무 경험이 부족한 주니어 기획자가 읽으면 좋은 책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본문

기획자의 책장

실무 경험이 부족한 주니어 기획자가 읽으면 좋은 책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서비스 기획의 모든것 2024. 5. 15. 12:11

 

책 표지

 

두번째 읽는 책인데 새로운 내용들이 속속들이 나온다. 첫번째와 두번째 기간동안 나는 몇가지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래서 그런지 더욱 더 와닿는 내용들이 있었던 것 같다.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라면 책장에 꽂아놓고 두고두고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서비스기획자가 하는 일

  1. UX와 비즈니스 모델까지 생각한다.
  2. 개발환경과 비용까지 생각한다.
  3. 서비스 전체의 선순환을 생각한다.

 

서비스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

  • 문제해결
  •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

 

전략기획 vs 서비스기획


전략기획
:지속가능한 경영(4P 마케팅 믹스, 3C 분석, STP전략, SWOT 분석)
 
서비스기획
:이런 수익모델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구조로 설계하고 구현하기
 

전략기획과 서비스기획의 방향성이 같게 하도록 '디자인 씽킹' '사용자 중심 설계' > 페이포인트 발견 > 고객에게 가치 전달

 

UX분석하는 이유는?

:고객 경험을 통해 서비스의 개선방향에 대한 인사이트 얻기 위한 것
 

기획의 본질이란?

비즈니스 목표나 문제를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해결책 제안하는 것

 

마인드맵으로 기획하기

*처음부터 화면설계를 하지 않을 것. 기획자는 화면을 그리는 것보다 어떤 기능과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를 보여줄 것인지 파악하는게 우선이다.

 
[서비스의 재료] 1. 기능 2.데이터 
[서비스의 재료로 구현하기 위한 과정] 3.정책 4.제약사항 5.IA

 

기능,데이터 산출하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플로우 화면 정리
사용자 스토리 문서


기획자는 '커뮤니케이션'으로 평가한다.

 

  1. 미션에 대한 적절한 기획을 했는가?
  2. 기획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구현시켰는가?

사용매뉴얼 만드는 공식

  1. 매뉴얼 대상 파악
  2. 이용순서와 설명순서 일치시키기
  3. FAQ
  4. 오픈 콘텐츠 등록일정 확인

 

사용자 조사시 가장 기본적인 일

* 사용자에게 목적주기

> 보통 사용자 조사 시 어떤 목적, 예를 들어 A상품 구매등 목적을 주지 않고 그저 '사용'에 포커스 되는 경우가 많음, 주의해야할 것!
 

사용자 조사 시 기본적인 규칙에 관하여

회사 입사 후 해야할 것

  • 1. 정책문서 살피기
  • 2. 스토리보드와 화면 대치해보기
  • 3. 테스트하기
  • 4. 이해한게 맞는지 도식만들어 보기
  • 5. 회사 선배들께 모르는 것들 질문하기

 

타부서의 요청사항을 토대로 서비스기획에서 분석하고

 

전략을 짠 내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