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T기획
- IT기획자
- 회원가입로직
- 업무회고
- 서비스기획실무
- 화면설계서
- 책추천
- 주니어기획자
- PM
- 회원가입기획
- 서비스기획자
- 기획실무
- 비전공자
- 기획자회고
- 비전공자취업
- 회고하는이유
- 기능정의서
- 기획자의회고
- AI시대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서비스기획
- 서비스기획책추천
- 요구사항정의서
- 기획자의책장
- 신입기획자
- 신입서비스기획자
- 포트폴리오구성
- 기획자태도
- 기획프로세스
- 기획자의문서관리
- Today
- Total
기획자로 살아남기
주니어 기획자가 읽으면 도움되는 실무책 추천 [서비스를 성공시키는 기획자의 비법노트] 본문
서비스 기획 경력이 부족한 서비스 기획자가 읽으면 좋은 실무책,
[서비스를 성공시키는 기획자의 비법노트]
https://link.coupang.com/a/bzLCwQ
서비스를 성공시키는 기획자의 비법 노트:서비스 기획 사수의 노하우를 담은 IT 기획의 정석
COUPANG
www.coupang.com
책에선 필자가 서비스 기획자가 된 배경부터 서비스 기획자의 하는 일, 서비스가 탄생하는 과정을 세세히 알려주는 책이다.
주니어 기획자가 아직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해보지 못하고, 서비스 기획과정뿐 만 아니라 산출물등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아직 감이 오지 않는다면 꼭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큰 단위의 목차
PART 0. 'IT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해
PART 1. 'IT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까지
PART 2. '시작이 반이다'리서치
PART 3. 문제정의
PART 4. 상위기획
PART 5. 개발
PART 6. 테스트(QA)
PART 7. 론칭
PART 8. 운영
PART 9. 기획자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PART 10. 기획자의 공부법
으로 구성되어있다.
두루뭉술한 설명이 아닌, 실제 서비스를 기획하는 과정을 보여주어 이해가 더 쉽게 될 뿐만 아니라 나같이 사수가 있는 듯 없는 듯하는 곳에서 기존 문서만 베끼기 바빴다면 산출물에 담기는 내용과 어디까지 정리해 주고 서술해 주면 좋을지 낱낱이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어드민을 기획할 때 이전엔 단지 화면과 설명을 쓰기 바빴다면, 해당 어드민 정책이나 레이아웃을 미리 고지하면서 개발자와 소통이 수월해진 경험이 있다. 2번이나 정독할 만큼, 기획자로서 필요한 실무를 잘 배울 수 있는 지침서 같은 책이다.
책 중에서,
p24 기획이란?
'기획'은 목표하는 바를 차질 없이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며, 누구나 시간을 들이면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얼마나 순조롭게 목표를 달성하는가가 해당 기획이 잘 짜인 기획인지 확인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p46 기획단계
Research-Problem-Solution-Business Model-유저 시나리오-QA
p121 레퍼런스
서비스 레퍼런스를 찾을 땐 해외서비스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유사기능 서비스 리서치 > 벤치마킹 시 팁! 처음 서비스에 접속할 때 화면 녹화기능을 사용해서 저장해 두면 좋다. 그러면 앱을 사용하면서 참고할 상세한 부분들을 놓치지 않고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p146 문제정의
주관적인 판단은 금물, 리서치를 하며 사용자가 이야기한 불편사항, 전문가의견, 기획자의 의견, 내부의견에서 문제점을 찾고 이를 모두 나열해 보는 과정 필요!
p147 문제정의 과정
문제점 나열> 그룹별로 묶어보기 > 가설 설정
p160 상위 기획
상위기획 산출물은 리서치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어떻게 서비스화 할지 기획자 관점에서 시각화하는 동시에 구성원이 프로젝트를 이해할 수 있는 문서를 만드는 작업
*전문 지식이 없더라도 이해할 수 있고, 누구나 설득하기 쉽게 작성해야 한다!
[상위기획 구성요소]
1. 요구사항 수집&사전분석 > 간단명료하게 정리 필요, what, how, why
2. 페르소나 > 리서치 결과 바탕으로 유저가 누구인지 설정, ux방법론 요식행위 될 가능성 있음
3. 유저시나리오
4. 정보구조 IA
5. 메뉴트리
6. 서비스흐름
7. 와이어프레임
8. 프로토타이핑
9. 기능요구사항 명세서> 최대한 상세히
10. 일정설정
11. 리뷰
https://link.coupang.com/a/bzLCwQ
서비스를 성공시키는 기획자의 비법 노트:서비스 기획 사수의 노하우를 담은 IT 기획의 정석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기획자의 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추천: 기획은 2형식이다. 기획의 본질을 공부하고 싶다면, 기획자라면 강력 추천! (0) | 2024.08.20 |
---|---|
실무 경험이 부족한 주니어 기획자가 읽으면 좋은 책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