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회고하는이유
- 서비스기획자
- 요구사항정의서
- 책추천
- IT기획자
- IT기획
- 기획자의문서관리
- PM
- 신입기획자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비전공자취업
- 기능정의서
- 기획실무
- 회원가입로직
- 기획자회고
- 기획자의회고
- 화면설계서
- 기획자의책장
- 신입서비스기획자
- 회원가입기획
- 포트폴리오구성
- 서비스기획책추천
- 비전공자
- 기획프로세스
- 업무회고
- 기획자태도
- 주니어기획자
- 서비스기획실무
- AI시대
- 서비스기획
- Today
- Total
목록AI시대 (2)
기획자로 살아남기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어느 직군이든 대체 가능성이 거론되는 요즘, 기획자 역시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나는 기획자의 일은 그 변화 속에서도 비교적 천천히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직무라고 생각한다.왜일까?기획은 단순한 문서 작성이나 기능 나열이 아니다.**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수많은 변수와 가능성을 상상하며, 사용자 입장에서 판단하는 ‘생각의 깊이’**가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 ‘생각할 시간’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끊임없이 쏟아지는 자극적인 숏폼 콘텐츠,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집중력은 분산되고, 깊이 있는 사고는 사라져간다.이럴 때일수록 기획자가 가져야 할 자세는 분명하다.생각을 회피하지 않는 것.“이 정도면 됐겠지”가 아니라,“이건 왜 필요한가?”, “사용자는 어떻게 행동..

바야흐로 AI시대가 되었다.Chat GPT의 탄생으로 편리해짐과 동시에 많은 직무가 Ai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코로나 시기에 IT업계는 그야말로 호황을 누렸다. 전례 없는 개발자의 몸값은 다른 직무에 비해 고공행진했고, IT업계 관련 직무들 모두 호황기를 맞이했다. 그에 따라 비전공자에서 지원하는 사람들도 폭발적으로 늘며 수요와 공급이 무너지는 형태가 되기도 했다.(현재진행형일 가능성이 높다) IT업계 커뮤니티를 보아도, 많은 실무자들이 말한다. 한 직무로만 성공하는 시대는 지났다고.서비스 기획자도 디자인을 할 줄 알아야 하고(ui) 디자이너도 기획을 할 줄 알아야한다. 마찬가지로 개발자도 디자인까진 아니더라도 기획에 빠질 수 없는 직무가 된 셈이다. 그리하여 개인적으로 나는 내 직무가 아니라고 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