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로 살아남기

글로벌 서비스 회원가입 기획 시 주의사항, 국가별 상황 고려가 필수인 이유 본문

서비스 기획 실무

글로벌 서비스 회원가입 기획 시 주의사항, 국가별 상황 고려가 필수인 이유

서비스 기획의 모든것 2024. 11. 12. 17:21

 

국내 vs 글로벌 서비스의 회원가입 기획 차이점

이전 회사에서도, 현재 회사에서도 글로벌 서비스를 염두에 두고 기획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과정에서 가장 크게 차이를 보였던 부분은 회원가입 절차다.

국내 서비스에서는 보통 CI(Connecting Information)를 이용한 본인인증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CI는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고유한 식별값으로, 주민등록번호 대신 개인을 식별하는 역할을 하며,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된다. 이를 통해 중복 가입을 방지하고, 동일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jameskay123/222108078609

 

글로벌 서비스 기획에 관한 이야기

오랜만에 올리는 포스팅입니다. 요새 블로그 관리가 너무 소홀했던 것 같아 스스로 반성을 해봅니다. 약 10...

blog.naver.com

*참고 블로그

그러나 글로벌 서비스에서는 CI 기반의 본인인증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국가별 통신 시스템 차이로 인해, 특히 동남아나 호주 같은 지역에서는 단일 유심칩보다 듀얼 유심폰(1개의 유심칩으로 2개의 번호 사용) 또는 **선불 유심칩(본인 명의 등록 없이 사용 가능)**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본인인증을 필수로 요구하는 회원가입 방식은 적용이 어렵다.

반응형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내 머릿속에 정리된 회원가입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1. 국내 서비스 = CI 기반 본인인증 (PASS 등)
  2. 해외 서비스 = 이메일 인증 또는 인증 없이 ID/PW 가입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글로벌 서비스에서는 휴대폰 점유 인증을 통한 회원가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중남미 등 타겟 국가의 사용자가 이메일 인증 과정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a href="https://www.freepik.com/free-photo/close-up-woman-writing-sticky-note_10704528.htm#fromView=search&page=1&position=20&uuid=f0cdf67c-632c-4a69-84f4-9fb29c48a04c">Image by freepik</a>

글로벌 서비스의 회원가입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점

해외 또는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때, 기획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접근해야 한다.

  1. 주 타겟 국가를 명확히 설정한다.
  2. 해당 국가의 통신 환경 및 시스템을 파악한다.
  3. 이탈률을 줄이면서도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방법을 찾는다.
  4. 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회원가입 방식을 설계한다.

현재 운영 중인 프로덕트는 중복 가입을 방지해야 하는 서비스이므로 휴대폰 점유 인증을 선택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아무런 액션 없이 이탈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처럼 기획자는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하되, 특정 방식에 고정되지 않고 서비스, 국가, 사용자 특성에 따라 끊임없이 고민하고 조정해야 한다. 즉, 1+1=2라는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분석과 실험을 통해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이 전 글에서도 썼듯이 기획자가 제일 조심해야하는 부분은 바로 데이터를 통한, 경험을 통한 기획 공식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