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T기획자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주니어기획자
- 회원가입로직
- 책추천
- 기획자의책장
- 기획실무
- 기획자의회고
- 서비스기획자
- 기획자의문서관리
- PM
- AI시대
- 서비스기획실무
- 비전공자취업
- 기획프로세스
- IT기획
- 업무회고
- 기획자태도
- 회원가입기획
- 기획자회고
- 회고하는이유
- 요구사항정의서
- 신입기획자
- 서비스기획책추천
- 화면설계서
- 포트폴리오구성
- 기능정의서
- 비전공자
- 서비스기획
- 신입서비스기획자
- Today
- Total
기획자로 살아남기
헷갈리는 앱 푸시 서비스 알림(팝업) vs 광고 알림(팝업) 본문
앱 푸시의 서비스 알림(팝업)과 광고 알림(팝업)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 앱 푸시란?
2. 서비스 알림이란?
3. 광고 알림이란?
4. 앱 푸시 보내는 시점
5. 광고 알림 수신 동의/비동의 시 주의할 점
6. 회원탈퇴 시 앱 푸시 관리
1. 앱 푸시란?
- 해당 앱을 기기에 다운받고 기기를 통해 해당 앱의 알림을 보내는 것을 의미하며 1.서비스 알림에 대한 앱 푸시와2. 광고 알림에 대한 앱 푸시가 있다.
2. 서비스 알림이란?
해당 앱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예: 주문 및 배달 진행상황 안내)
> 서비스 알림 시 팝업 멘트 :
'00'에서 알림을 보내고자 합니다. 경고,사운드 및 아이콘 배지가 알림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설정에서 이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허용 안 함)(허용)
* 이때 서비스 알림 팝업은 시스템 팝업으로 허용 시 OS>설정>알림이 ON으로 켜진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OS>설정 > 알림 >off인 경우 앱 내에서 알림을 받겠다고 해도 알림이 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기때문에 OS에서 알림이 꺼져있을 경우, 앱내에서 알림을 on/off하는 게 아닌 아예 OS로 넘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배민,요기요등)
3. 광고 알림이란?
앱 푸시를 통해 해당 앱의 이벤트 및 상품 출시 등 광고를 하기 위한 알림 서비스(예: 이벤트와 할인 혜택 및 쿠폰에 대한 알림 동의/비동의)
> 광고 알림 시 팝업 멘트:
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하시면 '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이벤트 정보를 푸시 알림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4. 앱 푸시 보내는 시점
- 로그인 전(비로그인 시)
: 로그인 하기 전으로 앱 다운 후 최초 실행 시 푸시알림 팝업을 노출할 수 있다. 비로그인 시에도 광고 알림이나 서비스 알림을 받을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 로그인 후
: 최초 로그인 후 첫 화면(예: 홈)에서 푸시 알림 팝업을 노출할 수 있음
*광고 알림(팝업)은 정책에 따라 로그인 전, 로그인 후 앱 사용시에도 간간히 팝업을 적용해 수신을 물을 수 있다.
(예: 회원이 이미 광고 알림 수신을 거부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구매나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이벤트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광고 알림을 동의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
5. 광고 알림 수신 동의/비동의 시 주의할 점
1. 광고 알림 수신 동의/비동의 시 항상 처리결과를 통보해야한다.
- 최초 광고 알림 팝업 노출로 동의/비동의 시 처리 결과 통보
- 광고 알림 수신 동의 > 비동의로 바꾼 경우에도 처리 결과 통보
- 광고 알림 수신 비동의 > 동의로 바꾼 경우에도 처리 결과 통보
2. 광고 알림은 유저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형태가 필요하다.
광고 알림은 무조건 유저에게 선택할 수 있는 팝업형태가 필요하다. 팝업형태를 주지 않고 광고 알림이 항상 ON이 되어있다면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있어 걸릴 수 있는 이슈가 된다. 수신 동의/비동의 할 수 있는 팝업을 1번은 보여주어야 한다.
6. 회원탈퇴 시 앱 푸시 관리
해당 앱 회원탈퇴 시 앱 푸시 수신에 대한 비동의가 내포됨을 나타낸다.회원탈퇴 후 해당 앱을 지우지 않고 사용할 경우 로그인 전 광고 알림을 보내는 정책이더라도 서비스 알림 및 광고 알림은 모두 off된 상태가 되어야한다.
'서비스 기획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원가입 시 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것인가, 기획의 역할 (0) | 2024.04.25 |
---|---|
텍스트 인풋 박스 유효성 체크 방식(실시간 유효성 체크 vs 액션 유효성 체크) (0) | 2024.04.15 |
기획자의 소통능력이 중요한 이유, 문서작성 시 팁 공유 (0) | 2024.04.11 |
요구사항정의서가 기획의 반인 이유, 요구사항정의서 쓰는 법 (1) | 2024.04.07 |
헷갈리는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vs 개인정보 처리방침 (1)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