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입서비스기획자
- 기능정의서
- 포트폴리오구성
- 책추천
- 회원가입기획
- 주니어기획자
- 기획자의책장
- 서비스기획
-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
- 요구사항정의서
- 화면설계서
- 서비스기획자
- 서비스기획실무
- 기획자의회고
- IT기획
- 서비스기획책추천
- 회고하는이유
- 비전공자
- 비전공자취업
- 기획실무
- 신입기획자
- 기획자회고
- 서비스기획회고
- 기획자
- PM
- 기획자의문서관리
- IT기획자
- 회원가입로직
- 업무회고
- 기획프로세스
- Today
- Total
기획자로 살아남기
텍스트 인풋 박스 유효성 체크 방식(실시간 유효성 체크 vs 액션 유효성 체크) 본문
텍스트 인풋 박스에 텍스트 입력 시 필요한 유효성 체크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대부분 앱/웹 서비스를 기획 시 유효한 데이터인지 검사하는 기획은 필수이다. 유효성 검사란 텍스트 인풋 박스에 입력한 텍스트가 데이터적으로 유효한지 검사하는 걸 뜻한다.
텍스트 인풋 박스란?
해당 로그인 페이지에서의 텍스트 인풋 박스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필드를 가리킨다.
유효성 검사하는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회원가입을 기획한다는 가정하에 아이디 입력 시 기존 가입한 아이디와 중복되지 않는지, 가입 아이디 조건에 맞는지 유효성을 따져봐야 한다. 유효성 검사 없이 회원가입을 진행할 경우에 중복아이디 이슈로 회원관리가 어렵거나 아이디 조건에 부합하지 않은 채 가입된 경우 해킹의 위험이 있어 정책상 중복아이디나 아이디 조건을 미리 정책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때 이미 존재하는 아이디를 입력한다거나, 아이디 or 비밀번호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다음단계로 진행할 수 있음 or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 바로 유효성 검사이다.
유효성 검사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유효성 검사는 서버와 연결하여 유효성을 검사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실시간 유효성 검사와 액션 유효성 검사로 나뉜다.
- 실시간 유효성 검사
실시간 유효성 검사는 서버와 연결 없이 유효성 검사를 한다는 것을 의미하여 텍스트 인풋 박스에 입력이 완료된 경우 바로 유효성 검사가 진행된다. 이런 탓에 보통 아이디 및 비밀번호 조건을 검사하는 경우가 많다.
예: 비밀번호 조건 > 영문 및 숫자 8 자~12자 조합인 경우, 영문만 입력했을 때 어떤 액션 없이 바로 유효성 검사 메시지가 노출된다.'비밀번호는 영문 및 숫자 8 자~12자로 입력해야 합니다.'등 - 액션 유효성 검사
말 그대로 실시간 유효성 검사와 달리, 어떤 액션을 취해야 유효성 검사가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 모두 입력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액션) 했을 때 유효성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공 시에는 로그인이 성공될 것이고
실패 시에는 유효성 검사 메시지가 노출될 것이다. 예: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등
실시간 유효성 검사와 액션 유효성 검사를 혼합해서 기획하기도 한다.
서버 연결 없이 가능한 실시간 유효성 검사(보통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조건 검사)와 액션 유효성 검사(로그인 버튼 터치로 아이디와 비밀번호 부합이 맞는지)로 로그인 화면에서 두 가지를 혼용하여 유효성 검사를 하기도 한다.
유효성 검사 메시지
'서비스 기획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소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상세기획 (탑앱바,네비게이션 바,터치 영역,용어 통일) (0) | 2024.05.14 |
---|---|
회원가입 시 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것인가, 기획의 역할 (0) | 2024.04.25 |
기획자의 소통능력이 중요한 이유, 문서작성 시 팁 공유 (0) | 2024.04.11 |
헷갈리는 앱 푸시 서비스 알림(팝업) vs 광고 알림(팝업) (0) | 2024.04.08 |
요구사항정의서가 기획의 반인 이유, 요구사항정의서 쓰는 법 (1)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