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로 살아남기

회원가입 시 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것인가, 기획의 역할 본문

서비스 기획 실무

회원가입 시 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것인가, 기획의 역할

서비스 기획의 모든것 2024. 4. 25. 19:29

 

 

<a href="https://www.freepik.com/free-photo/high-angle-hands-holding-paper_34523257.htm#fromView=search&page=1&position=3&uuid=7b1d8ff0-ec2a-47aa-9f9f-eff47c5f8f5d">Image by freepik</a>

로그인 없는 서비스?

웹이든 앱이든 IT 서비스에서 로그인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점점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회원가입 시 받는 정보에 따라 다르겠지만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얻게되고 서비스 목적에 따른 사용자 분석 및 사용자 친화적 업데이트 등의 이유로 회원가입이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회원가입이란?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간의 관계를 성립하는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기획 시 회원가입 로직은 제일 중요하다. 사용자 정보는 회원가입 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수월하게 받을 수 있는 절차이다. 이미 서비스가 오픈된 후 받고 싶은 사용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받는 것은 동의를 받는데 어려울 수 있어 회원가입 시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것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원가입 로직

1.약관동의

회원가입을 진행한다면 필수적으로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서비스 이용약관 동의를 받아야 한다.

 
[개인정보 이용 및 수집 동의 약관 상세에 들어가야 하는 정보]

-수집 항목
-수집 목적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는 모두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관한 것이며, 어떤 항목을 수집할 지 목적은 무엇인지, 보유 및 이용기간을 명시해주어야 한다.
 
[서비스 이용약관]

-서비스 목적에 따른 회사,회원,계약등 명시

이외에 서비스에 따라 필수로 받아야할 사항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 동의를 필수로 받거나, 사용자에게 편의성으로 제공하고자 할 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해야한다.

 

2.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선택)

-이메일 회원가입 시 서비스내 정의한 아이디 정책에 따라 아이디를 입력한다. 서비스 정책마다 중복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 소셜 로그인(네이버,카카오 등)으로 가입이 가능하다면 선택적으로 빠질 수 있음,이또한 정책마다 상이하다.

 

3.본인인증 방식

3-1. 휴대폰 본인인증
국내 이동통신사 가입자 정보가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 및 휴대폰 번호와 일치하는지, 해당 번호를 소유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휴대폰만 있으면 누구든지 할 수 있고 방법 또한 편리해서 널리 보급되었다. 통신사,이름,내/외국인 정보,생년월일,성별,휴대폰 번호, 보안 숫자를 입력한 후 SMS로 발송되는 6자리 인증번호 검증까지 거쳐 인증한다.
 
특징
1.인증번호를 보낼때마다 비용이 발생되어 서비스 목적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되어야함
2. 1인 1계정으로 금융등 보안이 필요한 앱인 경우 해당 방법을 추천함
 
3-2.개인 실명 확인 방식
NICE 평가 정보나 SCI평가정보를 거치는 인증 방식이다. 이름과 주민번호를 통해 실존하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따진다. 내국인의 경우 이용자의 주민번호,성명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외국인의 경우 출입국 사무소에 등록된 외국인 등록번호와 성명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서비스는 주민등록번호 수집/활용의 법적 근거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인인증 목적으로는 사용이 불가하다. 해당 인증은 주로 주민등록번호 확인이 필요한 ARS 상담등에 활용할 수 있다.
 
특징
1.주민등록번호 수집/활용의 법적 근거가 필요하여 특정 앱이 아닌 이상 잘 사용되지 않음(보험,은행앱에서 사용)
 
3.휴대폰 번호 인증 방식(점유인증)
통신사나 신용평가기관과 관련 없이 번호의 유효성을 따지는 인증 방식이다.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인증하면 입력한 번호로 4~6자리 숫자가 담긴 SMS가 온다. 보통 부정인증을 방지하기 위해 캡챠확인 과정을 거치며 인증번호에는 약 3분의 유효시간이 제공된다. 해당 인증은 휴대폰 번호가 실제로 존재하는 번호인지만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입력하는 항목이 적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 가입 허들을 낮출 수 있다.
 
특정
1.중복가입이 가능함
2.번호의 유효성만을 따지는 인증 방식으로 이외의 정보는 추가적으로 받아야함 
 
4.이메일 인증 방식
해외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인증 방식, 이메일 업체에 제공하는 인증을 어느 정도 신뢰하고 진행하는 방식이다. 해당 방식은 이메일이 곧 서비스 아이디로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이디를 기억해야 하는 공수는 적지만 반면 인증을 위해 해당 메일 사이트로 접속해 확인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정말 이 사람이 맞는 지 확인할 방법은 없다. 단순히 존재하는 이메일이란 사실만 확인할 수 있다.
 
특징
1.글로벌 서비스인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2.중복가입 가능
3. 해당 정보로 회원 정보를 분별하기 어려움(추가적으로 정보입력을 통해 받을 수 있음)

이처럼 서비스의 방향성과 목적에 따라,어떤 회원정보를 받을 지에 따라, 회원가입 방식은 달라진다.

반응형